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서비스/클라우드 기초

가상화란?(가상화 개념, 가상화 클라우드 차이)

by S!O 2023. 1. 23.
반응형

가상화란

 

가상화(Virtualization)란?

 

 

가상화(Virtualization)란 물리적인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하나의 하드웨어 자원을 쪼개서(논리적으로 분리) 여러 개처럼 동작 시키거나 반대로 여러 개의 자원들을 묶어서 하나의 자원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가상화의 대상이 되는 컴퓨팅 자원은 프로세서(CPU), 메모리(Memory), 스토리지(Storage), 네트워크(Network)를 포함하며, 이 들을 쪼개거나 합쳐서 자원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사이트들에서 가상화의 개념에 대해 "물리적인 자원을  논리적인 객체로 추상화하는 기술"이라 설명 하고있다. 가상화를 처음 접하는 이가 보았을 때  막연하고 다소 어려울 수 있어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정의하였다.

 

 

 

 

VM(가상머신)과 컨테이너

 

가상머신 컨테이너
<출처:(https://www.netapp.com/blog/containers-vs-vms/)>

 

오늘날의 가상화 기술의 두 축은 하이퍼바이저(VM) 기반의 가상화와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이다.

 

가상 머신 (VM : Virltual Machine)은 단어 뜻 그대로 하이퍼바이저[각주:1]를 이용해 리소스 전체를 가상화하여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여러 개의 가상머신을 생성해 실제 물리적인 장치는 아니지만 실제 컴퓨터처럼 동작한다.

 

컨테이너[각주:2]기반의 가상화는  그림과 같이 host os위에 컨테이너 엔진이 올라가 OS수준에서 프로세스를 컨테이너 형태로 격리하는 방법이다. vm보다 메모리 사용량이 적고 디스크 사용량도 적어 상대적으로 가볍다.

 

이번포스팅은 VM과 컨테이너 개념에 대해 간단히 적고 다음포스팅에서 아주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가상화의 의의

 

과거의 서버와 OS는 1:1로 대응하는 구조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하드웨어 성능이 나날이 발전하여 소프트웨어가 요구하는 서버 성능에 비해 소프트웨어를 실행 중인 서버의 성능이 훨씬 좋다 보니 서버의 자원을 30%이하로 사용하는 비효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기술이 바로 "가상화" 기술이다.

 

과거의 서버
가상화 서버

                             <출처:https://www.redhat.com/ko/topics/virtualization/what-is-virtualization>                                    

 

 

과거의 서버에서는 서버의 자원 30%정도 밖에 활용하지 못하나 가상화는 기존의 하드웨어와 OS의 1:1 대응에서 벗어난 1:多 대응이 가능해진 기술로 서버의 효율을 60~7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이외에 비용,시간,인력,공간 절약 등 많은 장점이 있지만 가상화는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나타난 개념이다!

 

 

가상화와 클라우드 차이점

 

가상화 기술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인프라 자원 뿐만아니라 네트워킹, 플랫폼, 오케스트레이션 [각주:3], 보안, 복구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에게 온디맨드[각주:4]로 제공 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컴퓨팅 환경,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게 된다.

 

가상화는 "기술"이고 클라우드는 "환경"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단순 가상화 기술만 사용한다고 클라우드가 아니라위에 설명한 환경이 갖춰져야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할 수 있다.

 

 


 

 

 

 

 

 

 

  1. 하드웨어에서 시스템의 운영 체제와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분리해 VM에 할당하여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본문으로]
  2. 논리적인 공간(컨테이너)을 만들어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하나로 모아, 마치 별도의 서버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 [본문으로]
  3. 컴퓨터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자동화된 설정, 관리, 조정 [본문으로]
  4. 요구 사항에 따라 즉시 제공/공급하는 방식(주문형),소비자가 있는 곳까지 찾아가서 상품과 서비스를 전달 [본문으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