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지

블록 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 / 오브젝트 스토리지 개념,차이

by S!O 2023. 4. 29.
반응형

파일 스토리지 블록스토리지 오브젝트 스토리지
출처:https://ubuntu.com/blog/what-are-the-different-types-of-storage-block-object-and-file

 

블록 스토리지란

 

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블록이라는 고정된 크기의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 블록들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블록들을 재구성해 하나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달된다.

 

SAN(Storage Area Network) 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블록 스토리지를 SAN 방식으로 많이 연결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샌(SAN) 스토리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블록스토리지는 빠른 속도와 안전성을 위해 설계된 종속성을 가진 스토리지이다. 빠른 액세스 및 검색에 최적화된 스토리지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며  서버가 연결되어 있어야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종속성' 스토리지이다. 서버 없이는 데이터를 보관만 할 뿐, 읽고 쓸 수가 없다.

보통 블록 스토리지의 경우는 '컨트롤러'라고 불리우는 스토리지 전용 입출력 장치가 장비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다.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시스템 외에는 추가적인 기능이 없고, 대신 입출력을 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단순하기 때문에 그만큼 비교적 안정성과 빠른 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블록 스토리지는 직접 PC에 하드를 넣지는 않지만,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나 iSCSI 프로토콜을 통해 위와 같이 실제 디스크를 PC에 넣은 것 '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블록 스토리지는 파일 스토리지 시스템이 구축되는 기반으로 생각할 수 있다.

 

 

파일 스토리지란

 

파일 스토리지는 파일 시스템이 데이터를 블록보다 상위 개념인 계층형 구조의 파일에 저장한다.

 

스토리지의 파일을 여러 클라이언트들에게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독립적 스토리지이다. 스토리지의 파일을 여러 클라이언트들에게 동시에 공유할 수 있고 스토리지 내에서 직접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

 

파일서버, 파일스토리지 = NAS 이라고 생각하면 아주 편하다!

 

블록 스토리지는 디스크를 직접 연결한 것처럼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파일 스토리지의 경우는 클라이언트가 '다른 컴퓨터'에 접근하는 방식과 같이 접근해서 읽고 쓴다. 하드웨어 적으로 메인보드, CPU, 램, HDD나 SSD 연결 포트로 구성, 거기다 전용 OS까지 설치된 서버와 동일한 구조의 장치, 컴퓨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블록 스토리지와 다르게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고 서버나 PC와 동등한 독립적인 장치로 네트워크에서 파일 입출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의 공유가 필요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유용하다.

 

오브젝트 스토리지란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오브젝트(Object)라는 단위로 관리한다.오브젝트(객체)란 파일과 폴더 구조에 중첩된 파일이나 섹터와 트랙 내의 블록이 아니라 맞춤 메타데이터와 고유 식별자가 설정된 파일이다.

오브젝트에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식별번호, 그리고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데이터가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저장되면, 그 데이터에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라는 128비트 정수로 구성된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모든 데이터가 평면에 저장된다 폴더, 또는 디렉토리로 복잡하게 구성되는 계층 구조가 없어 고유의 식별번호를 통해 하나의 스토리지 풀 내에서 해당 오브젝트를 바로 찾을 수 있어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오브젝트 스토리지 내 오브젝트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기본적으로 HTTP 기반의 RESTful API를 지원해 네트워크 상에서 오브젝트에 HTTP 명령어(PUT, GET, DELETE)를 사용할 수 있다. Get 혹은 Post 로 요청을 하면 파일을 요청,저장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마존의 인기 서비스 S3가 있다. 아마존을 공부할 계획이면 REST API, 오브젝트 스토리지 등을 알아두고 가면 공부하기 편하당

 

 


 

AWS 자격증 공부하느라 포스팅을 너무 오래 안 썼다..! 이제 공부한 것들 차근차근 올릴 계획이당

반응형

'스토리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CSI란  (0) 2023.06.16
스토리지 종류 : DAS / NAS / SAN 개념, 차이점  (1) 2023.02.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