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서비스/클라우드 기초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IaaS, PaaS, SaaS)

by S!O 2023. 1. 17.
반응형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클라우드 업체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는 제공하는 범위에 따라 대표적으로 IaaS, PaaS, SaaS로 나누어진다.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IaaS, PaaS, SaaS)
<자료:Microsoft, 교보증권 리서치 센터>

 

IaaS란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가장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서비스로 사용자에게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단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급자는 가상화 인프라를 제공해 주며 사용자는 나머지 자원을 모두 설치하고 관리해야 한다. 대표적인 IaaS 서비스는 AWS의 EC2, S3 등이 있고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프라를 제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인프라자원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유연성이 뛰어나다. 

KVM, Xen과 같은 하이퍼바이저[각주:1] 를 이용하여 제공환경을 구축한다. 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등과 같은 가상화에 관련된 개념도 자세히 포스팅할 예정이다!

 

사용자는 물리적인 자원을 고려하고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역설적으로 관리자 입장에서 물리적인 자원에 접근할 수 없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가상 서버 하위의 레벨에 대해서 고려할 필요가 없는 사용자가 쓰기에 적합한 모델이다.

 

 

PaaS란

PaaS(Platform as a Service):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PaaS는 IaaS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운영체제, 미들웨어[각주:2], 런타임[각주:3] 같은 실행환경(Platform)을 제공하고 관리한다. PaaS는 보통 개발자에게 유용한 유형으로 서비스개발, 배포를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웹,API 형태로 제공하며 이미 설치된 미들웨어 위에 코드만 돌리면 되기 때문에, 관리가 편하고 서비스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다. 이것도 IaaS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인프라를 기반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AWS의 elastic beanstalk가 있다. elastic beanstalk는 어플리케이션 설정, 생성, 배포, 관리를 빠르고 간단하게 지원해 주는 개발자 풀 코스 서비스이다.

 

 

SaaS란

SaaS(Software as a service):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서비스

 

클라우드기반  웹 애플라케이션의 완전한 패키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모든 것을 기업(클라우드업체)에서 제공함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설치나 부담이 필요 없이 SW를 웹이나 API 형태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 하고 있는지 알 필요가 없고 단순히 소비목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에게는 가장 익숙한 유형의 모델로 웹 메일, 구글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등이 있다. SW 업데이트를 클라우드 업체가 진행하여 사용자가 따로 업데이트를 하지 않아도 접속한 사용자는 최신 SW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은 클라우드와 뗄수없는 관계 "가상화"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 하겠당!

 


 

 

 

 

 

  1. 하드웨어에서 시스템의 운영 체제와 리소스를 분리해 VM에 할당하여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본문으로]
  2. OS와 앱의 중간에서 중개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본문으로]
  3. (런타임환경) 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이다. 예)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JRE [본문으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