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서비스/클라우드 기초

클라우드 컴퓨팅이란?(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by S!O 2023. 1. 14.
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쉽게 설명하면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된 자원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네트워크망(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한다고 보면 되겠다! - 가상화 클라우드 차이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모델은 기본적으로 3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옵션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퍼블릭 클라우드는 말 그대로 공용의 클라우드, 특정 기업이나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가 아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리소스(서버,스토리지 등)를 타사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소유하고 운영하며 인터넷을 통해 제공한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비용절감 -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한 서비스의 요금만 지불하면 된다.

 

유지 관리 불필요 - 서비스 공급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리소스를 신경 쓸 필요없이 서비스 운영에만 집중 가능하다.

 

스케일링 성능 - 서비스 부하에 따라 실시간 확장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기업이 직접 가상머신(VM) 및 컨테이너(가상화 기술) 를 통해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기업 내부에서 활용 하는것을 말한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데이터 리소스에 대한 더 많은 제어 및 활용 권한 - 기업이 자원의 제어권을 갖고 있다.

 

●데이터 보호 향상 - 기업의 전용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원과 데이터가 기업 내부에 저장되니 보안성이 매우 뛰어나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하나 이상의 외부 퍼블릭 클라우드와 자체 인프라를 활용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가 조합된 환경이다. 퍼블릭,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각 장점을 가지고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할 수 밖에 없고,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직접 인프라를 유지 관리 해야하며 초기 구축 비용도 많이든다. 전에 회사에서 가상화서버를 다뤘었는데 상사들이 우스갯소리로 니 연봉보다 비싸니 조심히 다루라는 소리를 많이들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 각 장점들을 활용할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이다.

 

민감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작업 부하가 갑자기 증대, 실시간 확장성이 필요한경우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이 재해복구를 할수있는 다른 데이터센터가 없는경우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

 

 

등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인프라가 복잡해 지므로 클라우드 간의 통합 기술,보안 기술이 필요하다.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도 함께 포스팅 하려 했으나 글이 많이 길어질 수 있어서 다음 글로 포스팅하겠당!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