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서비스/클라우드 기초4

도커란? / 쿠버네티스란? / 도커,쿠버네티스 차이점 도커(Docker)란 도커(Docker)란 컨테이너기반 가상화 기술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컨테이너는 응용 프로그램과 그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라이브러리, 실행 파일, 환경 설정 등)을 패키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커는 이러한 컨테이너를 생성, 배포 및 실행하기 위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컨테이너란, 우리가 구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까지 감싸서, 어디서든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이다. OS수준에서 프로세스를 컨테이너 형태로 격리해 훨씬 가볍고 빠르게 실행된다. 그림에 보이는 컨테이너 런타임(컨테이너 엔진)의 한 종류가 바로 도커이다. 컨테이너를 쉽게 내려받거나 공유하고 구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도커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2023. 6. 24.
가상화란?(가상화 개념, 가상화 클라우드 차이) 가상화(Virtualization)란? 가상화(Virtualization)란 물리적인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하나의 하드웨어 자원을 쪼개서(논리적으로 분리) 여러 개처럼 동작 시키거나 반대로 여러 개의 자원들을 묶어서 하나의 자원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가상화의 대상이 되는 컴퓨팅 자원은 프로세서(CPU), 메모리(Memory), 스토리지(Storage), 네트워크(Network)를 포함하며, 이 들을 쪼개거나 합쳐서 자원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사이트들에서 가상화의 개념에 대해 "물리적인 자원을 논리적인 객체로 추상화하는 기술"이라 설명 하고있다. 가상화를 처음 접하는 이가 보았을 때 막연하고 다소 어려울 수 있어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정의하.. 2023. 1. 23.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IaaS, PaaS, SaaS)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클라우드 업체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는 제공하는 범위에 따라 대표적으로 IaaS, PaaS, SaaS로 나누어진다.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가장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서비스로 사용자에게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단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급자는 가상화 인프라를 제공해 주며 사용자는 나머지 자원을 모두 설치하고 관리해야 한다. 대표적인 IaaS 서비스는 AWS의 EC2, S3 등이 있고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프라를 제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인프라자원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유연성이 뛰어나다. KVM, Xen과 같은 하이퍼바이저 를 이용하여 제공환경을 구축한다. 하이퍼바.. 2023. 1. 17.
클라우드 컴퓨팅이란?(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쉽게 설명하면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된 자원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네트워크망(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한다고 보면 되겠다! - 가상화 클라우드 차이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모델은 기본적으로 3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옵션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퍼블릭 클라우드는 말 그대로 공용의 클라우드, 특정 기업이나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가 아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리소스(서버,스토리지 등)를 타사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소유하고 운영하며 인터넷을 통해 제공한.. 2023.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