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AWS EC2 인스턴스 구매옵션 예약 인스턴스 일정 기간 동안 인스턴스를 예약하고, 미리 지불한 금액에 따라 할인된 가격으로 인스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인스턴스 유형, 리전, 테넌시, OS 등을 예약하고 온디맨드 요금과 비교하여 상당한 할인 혜택(최대 72%)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1년 또는 3년과 같은 긴 기간으로 예약 기간을 지정해야 하고 예약 기간이 길수록 더 큰 할인이 적용된다. 전체 선결제, 부분 선결제, 선결제 없음의 세 가지 결제 옵션 중 선택할 수 있고 전체 선결제가 제일 할인혜택이 크다. 할인 혜택(온디맨드 대비 최대 54%)을 제공하며 RI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환형 예약 인스턴스도 존재. 예약 인스턴스는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운영을 예상하는 경우나 예산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예약 인스턴스는 특정 시간 동안 .. 2023. 9. 19.
AWS SAA-C03 합격 후기, 팁 드디어 Solution Architect Associate를 취득했다. 응시료가 만만치 않아서 한 번에 붙고 싶었는데 한 번에 붙은 꿀팁들을 마구 방출하겠도다!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기본적인 거라도 알아가고 싶어 단순 자격증 취득 목적으로만 공부하지는 않았다. 공부자료 1.udemy 강의 수강 udemy saa-c03 udemy 강의를 적극 추천한다. udemy는 한글자막이 없는경우가 대다수인데 saa는 한글버전도 있어 수강하기 수월하다. 물론 번역이 어색한 부분도 있어서 스스로 잘 해석해야 될 때도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큰 문제는 없다! 시험에 나오는 부분도 잘 설명해주고 전체적으로 서비스에 대해 기본적인 설명과 실습이 있어서 만족스러웠다. 물론 범위는 매우 넓음... 나는 실.. 2023. 9. 17.
도커란? / 쿠버네티스란? / 도커,쿠버네티스 차이점 도커(Docker)란 도커(Docker)란 컨테이너기반 가상화 기술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컨테이너는 응용 프로그램과 그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라이브러리, 실행 파일, 환경 설정 등)을 패키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커는 이러한 컨테이너를 생성, 배포 및 실행하기 위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컨테이너란, 우리가 구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까지 감싸서, 어디서든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이다. OS수준에서 프로세스를 컨테이너 형태로 격리해 훨씬 가볍고 빠르게 실행된다. 그림에 보이는 컨테이너 런타임(컨테이너 엔진)의 한 종류가 바로 도커이다. 컨테이너를 쉽게 내려받거나 공유하고 구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도커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2023. 6. 24.
AWS CloudFront란? CloudFront란 CloudFront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전 세계적으로 배포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다. CDN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할 때 해당 콘텐츠를 전 세계의 캐시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위치한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더 빠르고 안정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CloudFront는 이러한 CDN 기능을 제공하여 웹 콘텐츠의 속도와 가용성을 향상시킨다. CloudFront 사용이유 빠른 콘텐츠 전송: CloudFront는 전 세계에 분산된 엣지 로케이션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는 지연 시간을 줄이고 콘텐츠의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고객 이탈률을 감소시킬.. 2023. 6. 23.
iSCSI란 iSCSI란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는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 장치와 호스트 컴퓨터 간의 블록 기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IP와 SCSI 프로토콜을 결합해 TCP/IP 네트워크에서 SCSI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기존 SAN 환경은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 FC)로 네트워크를 구축을 하고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높은 안정성,뛰어난 성능과 다운타임없이 대규모 확장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들고 관리에 전문적인,인력 지식이 필요하며 거리에 제한이 있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네.. 2023. 6. 16.
AWS SQS란?(개념, API 예제) AWS SQS (Amazon Simple Queue Service)는 분산 시스템에서 메시지 기반 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완전 관리형 메시지 대기열 서비스이다. SQS는 기본적으로 프로듀서와 컨슈머 간의 비동기식 통신을 용이하게 해주는 중개자 역할을 한다. 다른 컴포넌트나 서비스 간에 안정적으로 메시지를 교환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AWS SQS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1.Queue(대기열): SQS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대기열이다. 대기열은 메시지의 저장소이며, 메시지가 비동기적으로 보내지고 처리된다. 각 대기열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며, 여러 프로듀서 및 컨슈머가 동시에 대기열에 접근할 수 있다. 2.Message(메시지): 메시지는 프로듀서가 컨슈머에게 전송하.. 2023. 6. 12.
블록 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 / 오브젝트 스토리지 개념,차이 블록 스토리지란 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블록이라는 고정된 크기의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 블록들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블록들을 재구성해 하나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달된다. SAN(Storage Area Network) 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블록 스토리지를 SAN 방식으로 많이 연결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샌(SAN) 스토리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블록스토리지는 빠른 속도와 안전성을 위해 설계된 종속성을 가진 스토리지이다. 빠른 액세스 및 검색에 최적화된 스토리지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며 서버가 연결되어 있어야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종속성' 스토리지이다. 서버 없이는 데이터를 보관만 할 뿐, 읽고 쓸 수가 없다. 보통 블록 스.. 2023. 4. 29.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 리눅스 IP 변경 #1.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확인해 준다. 나의 경우는 eth0 #2.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명령어로 네트워크 설정 ifcfg-다음 본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 편집기로 다음 파일을 열어서 ip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i를 눌러 편집해주고 esc를 누른 후 :wq(저장 후 종료)를 입력한다. BOOTPROTO= ip를 동적으로 할당 할지 수동으로 할당 할지 설정하는 부분(dhcp/startic) ONBOOT= 부팅 시 현재 네트워크 설정을 적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부분(yes/no)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 위해선 IP ADDRESS, NETMASK, GATEWAY 이 세 가지가 꼭 있어.. 2023. 2. 12.
스토리지 종류 : DAS / NAS / SAN 개념, 차이점 DAS(Direct Attached Storage)란 서버 또는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되는 스토리지를 말하는 것으로,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 한 외장하드이다. 스토리지와 서버 간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단순하게 구성, 설치가 가능하나 하드웨어 포트수는 제한되어 있고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확장이 제한적이다. 가장 기본적인 스토리지 연결 유형이다. SAN(Storage Area Networks)란 san 먼저 설명하는 게 좋을 것 같아 먼저 설명하겠다!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시켜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호스트가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식이다. 스토리지들은 가상으로 중앙화된 논리 볼륨(logical volume)을 형성하.. 2023. 2. 1.